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월급 예산 세우기 실전법 – 소비를 계획하면 돈이 남는다
    + 재테크세상 2025. 4. 25. 22:12
    반응형

     

    “월급은 받자마자 사라지고, 통장은 다시 0원…”

   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현실이죠. 하지만 돈이 ‘없어서’가 아니라, 계획 없이 쓰기 때문입니다. 오늘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월급 예산 세우는 법을 알려드릴게요.

     

    1. 예산은 왜 세워야 할까?

    예산은 돈을 쓰기 위한 계획입니다. 계획 없이 쓰는 돈은 금방 사라지지만, 예산을 세우면 소비를 통제할 수 있어요.

    게다가, 지출 후에 '후회'하는 일이 줄어들고, 저축이 ‘남는 돈’이 아니라 ‘먼저 떼어 놓는 돈’이 됩니다.

     

    2. 기본 구조: 50:30:20 법칙

   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월급 분배 구조입니다.

    • 50% 필수지출: 월세, 공과금, 통신비, 교통비, 식비 등
    • 30% 선택지출: 외식, 쇼핑, 여가, 문화생활 등
    • 20% 저축 및 투자: 적금, 청약, 비상금, 투자 등

    예를 들어 월급이 세후 250만 원이라면:

    • 필수지출: 125만 원
    • 선택지출: 75만 원
    • 저축/투자: 50만 원

    이 구조는 단순하지만 소비 통제를 시작하는 데 아주 효과적입니다.

     

    3. 현실적인 예산표 만들기

    아래는 실제로 쓸 수 있는 월간 예산표 예시입니다.

    항목 예산 비고
    월세 500,000 고정 지출
    식비 300,000 주 7만원 + 커피
    교통비 80,000 정기권 사용
    쇼핑/문화 100,000 한도 설정
    비상금 적립 50,000 CMA 자동이체
    청약/적금 100,000 목표 저축

    이처럼 항목별로 월 한도를 정해두면, 중간에 앱이나 수기로 점검하면서 과소비를 막을 수 있어요.

     

    4. 예산 세우기 실전 팁

    • 1일~3일 안에 전체 예산 작성 (월급 받자마자)
    • 예산 초과 항목은 ‘경고표시’ 해두기
    • 저축/적금은 **자동이체로 가장 먼저 빠져나가게** 설정
    • 주간 지출 점검: “이번 주는 얼마 남았지?”
    • 소비 기록은 가계부와 연동 (ex. 예산 대비 실제 사용)

   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는 없어요. **조절하면서 본인만의 예산 시스템을 만드는 게 핵심**입니다.

     

    5. 예산 실패 원인 vs 성공 전략

    실패 원인 대안 전략
    수입보다 지출이 먼저 저축을 먼저 떼놓고 나머지로 지출
    예상보다 큰 소비 비정기 지출 항목 따로 설정
    갑작스런 병원비 등 비상금 계좌로 대응
    계획을 잊음 일주일에 한 번 체크

     

    마무리: 예산은 ‘나를 위한 소비의 설계도’입니다

    돈을 모으는 건 단순한 절약이 아니라 우선순위를 정하는 일입니다.

    예산은 나에게 중요한 것에 돈을 쓰고, 덜 중요한 건 덜 쓰게 도와주는 소비의 나침반이죠.

    매달 예산을 짜고, 지켜보고, 조정하는 그 습관이 결국 여러분을 **재테크 성공**으로 이끌어줄 거예요.

    📌 다음 글 예고: 짠테크 실전편 – 돈 안 들이고도 부자처럼 사는 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